훌다 클락 기생충 프로그램 부작용 두번째




앞서 구충약을 복용하거나 훌다 클락 프로그램을 진행할 경우 갑자기 체내에 쌓이게 되는 기생충의 사체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로 인해 불면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 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렇게 발생한 암모니아의 배출을 도울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단백질을 섭취하면 이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고 남은 노폐물로 암모니아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암모니아는 독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우리 몸속에 오랫동안 머물면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몸은 요소회로 작용*을 통해 암모니아를 독성이 없는 요소라는 물질로 분해하여 신장에 저장해 두었다가 소변이나 땀 등의 형태로 몸 밖으로 내보내게 되는 것입니다. 암모니아는 매우 고약한 냄새가 나는 독성 물질로서 가끔 청소가 잘 되어 있지 않은 화장실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체내에서 미처 요소로 전환되지 못한 암모니아가 소변에 함께 섞여 몸 바깥으로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암모니아 제거는 구충제를 복용하는 사람들뿐 아니라 멋진 근육질의 몸매를 만들기 위해 단백질을 많이 섭취해야 하고 그로 인해 암모니아가 체내에 쉽게 쌓이게 되는 웨이트 트레이너나 그 밖의 운동선수들에게도 큰 고민거리가 되곤 합니다. 이 경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 충분한 수분 섭취 아르기닌의 복용입니다. 

    아르기닌은 준 필수 아미노산으로서 평상시에는 신체 내에서 자연스럽게 충분한 양이 생산됩니다. 하지만, 우리 몸이 아프거나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인체가 스스로 생산해 낼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필요로 할 때가 있습니다. 아르기닌이 부족할 경우 식욕이 떨어지고, 성장기 어린이나 동물의 경우 성장 속도가 느려집니다. 

    고농축 아르기닌은 주로 우리 피부나 근섬유 결합조직에서 발견되는데, 피부 주름이나 근육 손실을 방지하며, 뼈와 힘줄 세포를 생성하도록 도와주고, 티 세포**를 (T-cells) 생성하는 가슴샘***의 역할을 도움으로서 인체 내 면역력을 향상시켜주는 물질입니다. 상처를 치료하고 효소와 호르몬의 생성을 돕는데 관여하며, 요소회로 작용을 통해 암모니아를 체외로 배출하는 디톡스 작용에도 관여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훌다 클락 박사는, 아직 과학적으로 충분한 임상실험이 이루어진 바가 없긴 하지만, 아르기닌이 커피를 끊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커피대용 섭취할 경우 커피를 마시는 것과 비슷한 에너지를 줄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요소회로 작용 - 체내의 암모니아를 해독하고 배출하는 과정 

    **T 세포 - 림프구는 크게 T 세포와 B 세포로 나누어집니다. T 세포는 가슴샘에서 유래하는 림프구로서 면역 시스템에서 기억 능력을 가지며 B 세포에 정보를 제공하여 바이러스에 대항해 항체 생성을 도울 뿐 아니라 전반적인 세포면역에 주된 역할을 한다. 

    ***가슴샘 (흉선) - 면역체계의 중요한 작용을 맡고 있으며 흉선이라고도 불린다. 림프구와 상피세포 가슴샘세포로 이루어진 림프성 장기이며,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선으로 인체의 심장 앞 위쪽에 위치한다. 

    반드시 모든 사람에게 불면증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이용하시면 됩니다.